맨위로가기

전위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위는 후한 말 진류군 기오현 출신으로, 뛰어난 체격과 괴력, 굳은 절개와 의협심을 지닌 인물이었다. 젊은 시절 원수를 갚기 위해 이영을 암살하여 호걸로 이름을 알렸고, '악래'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맹장으로 명성을 떨쳤다. 이후 조조를 섬기며 용맹함을 떨쳤으며, 연주에서 여포를 상대로 활약하고 교위로 승진했다. 조조를 충실히 보좌하며 경계를 늦추지 않았으나, 197년 완성 전투에서 장수의 기습으로 인해 전사했다. 조조는 전위의 죽음을 크게 슬퍼하며 그의 아들을 등용하고, 전위의 죽음을 기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추시 출신 - 주선
    주선은 당나라 말기 천평군 절도사로, 한젠의 공격을 막고 주전충과 대립하다 이극용과 동맹을 맺었으나 패배 후 처형당했다.
  • 상추시 출신 - 쉬즈융
    중국의 변호사이자 인권 운동가인 쉬즈융은 공익 단체 공맹 설립 지원, 신공민운동 주도 등 민주화와 인권 개선을 위한 활동으로 여러 차례 체포 및 구금되었으며, 2023년에는 '국가 권력 전복' 혐의로 징역 14년형을 선고받고 2024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되었다.
  • 197년 사망 - 진기 (원술 부하)
    진기는 영웅기에 기록된 원술 휘하 장수로, 원술이 황제를 칭하려 할 때 반대하다 죽임을 당했으며, 구강태수로 임명되어 손책과의 동맹 관계에 갈등을 빚었고, 여포 공격에 참여했다 패배하기도 했다.
  • 197년 사망 - 곽사
    후한 말 동탁의 부하였던 곽사는 이각 등과 장안을 점거하고 헌제를 옹립하여 권력을 장악했으나, 이각과의 다툼 끝에 조조에게 패하고 부하에게 살해당한 인물이다.
  • 조조 휘하의 장군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 조조 휘하의 장군 - 사마의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사가였던 사마의는 조조, 조비, 조예 3대에 걸쳐 중용되며 위나라의 권력을 장악했으나,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찬탈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전위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전위
원어 이름典韋
전위 청나라 삽화
청나라 삽화 속 전위
관직교위 (조조 휘하)
도위 (조조 휘하)
사마 (조조 휘하)
군주황제 헌제
임기 시작알 수 없음
임기 종료197년
출생알 수 없음
출생지허난성닝링현
사망일197년 2월 또는 3월
사망 장소허난성난양시완청구
자녀전만
직업군인
기본 정보
전(典)
본명전위(典韋)
출신지연주진류군 기오현
사망 연도건안 2년 (197년)
섬긴 세력장막
조조

2. 생애

전위는 뛰어난 체격과 괴력, 굳은 절개와 의협심을 지녔다고 전해진다.[26] 젊은 시절, 상읍의 유씨를 위해 그의 원수인 이영을 죽이는 의로운 일을 행하였다. 이영은 이전 부춘 현장을 지냈기 때문에 경비가 삼엄했지만, 전위는 비수를 품고 손님으로 가장하여 이영과 그의 아내를 살해했다. 이 일로 전위는 호걸로 알려지게 되었다.[27]

초평 연간, 장막이 거병하자 전위는 그의 사마 조총의 병사로 들어갔다. 조총은 아무도 들 수 없었던 아문의 깃발을 한 손으로 들어 올리는 전위의 괴력을 보고 그를 눈여겨보았다. 이후 전위는 하후돈의 휘하에서 여러 전공을 세워 사마가 되었다.[28]

복양에서 여포와 조조가 전투를 벌일 때, 전위는 수십 명의 돌격대를 이끌고 단극을 든 채 빗발치는 화살 속에서 싸워 여포군을 막아냈다. 도위가 된 후에는 조조의 친위대 수백 명을 이끌고 전투 때마다 선봉에서 적진을 함락시키는 공을 세웠다. 이러한 공적으로 전위는 무맹교위로 승진하였다.[29]

전위는 충성심이 강하고 신중한 성격이었다. 낮에는 조조 곁에서 시립하고, 밤에는 장막 좌우에서 숙위하여 자신의 집에서 자는 일이 거의 없었다. 식사량은 다른 사람의 두 배였고, 큰 쌍극과 장도를 애용하여 "장하의 장사 중에 전군이 있네. 한 쌍의 극 80근[30]을 든다"라는 칭찬을 받았다.[31]

197년 조조가 형주장수를 정벌하여 항복시켰을 때, 전위는 종군했다. 술자리에서 큰 도끼를 들고 장수들을 노려보아 아무도 감히 얼굴을 들지 못했다.[32] 장수가 모반을 일으키자, 전위는 조조를 도주시키기 위해 부하들과 함께 싸웠다. 전위가 지키던 진문에는 적이 침입할 수 없었지만, 다른 문으로 적이 침입해 왔다. 전위와 십수 명의 부하들은 다수의 적에게 포위되었지만, 혼자서 열 명을 상대하며 철극을 휘둘러 적의 창을 십여 개 부러뜨렸다. 부하들이 모두 죽고 자신도 수십 개의 상처를 입었지만, 전위는 적 두 명을 양옆에 끼고 쳐 죽였다. 마지막 순간, 돌진하여 수 명을 죽인 후, 눈을 부릅뜨고 입을 벌려 큰 소리로 욕하며 죽었다. 적은 두려워하며 전위의 머리를 베어 그의 시체를 구경했다고 한다.[33]

조조는 무음에서 전위의 죽음을 듣고 눈물을 흘렸으며, 아들 조앙의 죽음 이상으로 슬퍼하며 시신을 되찾기 위해 지원자를 모집했다. 고별식에서 울었고, 관을 진류군 상읍으로 보내도록 했다. 그 후, 전사한 곳을 지날 때마다 전위를 조문하고, 아들 전만을 낭중, 사마로 채용하여 곁에 두었다.[34]

정시 4년(243년) 조방(제왕)은 조조의 묘정에 공신 20명을 제사했는데, 전위는 교위라는 높지 않은 지위였음에도 이 안에 포함되었다.[35] 진수허저와 전위를 조조의 좌우를 경호한 것을 한나라의 번쾌에 비유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36]

2. 1. 초기 생애와 명성

전위는 허난성 닝링현에 위치한 진류군(陳留郡) 기오현(己吾縣) 출신으로, 힘이 세고 협객이 되려는 야망을 가진 건장한 사나이로 묘사되었다. 어릴 적 전위는 하남성, 수이현(당시에는 襄邑縣)의 어떤 유씨 가문을 위해 이영(李永중국어)에게 복수하기로 했다.[3] 이영은 이전 현의 수장이었고,[3] 여행할 때 그를 보호할 경호원들이 있었다.[3]

전위는 제후로 위장하고 음식과 술이 가득 찬 마차를 타고 이영의 집으로 갔다. 그는 아무런 제지도 받지 않고 집 안으로 들어가 숨겨둔 단검으로 이영을 찔러 죽이고 이영의 아내도 살해했다. 그는 집을 나와 마차에서 칼과 을 꺼내 걸어갔다. 이영이 시장 근처에 살았기에 그의 죽음에 대한 소식이 빠르게 퍼져 온 마을이 충격에 휩싸였다. 수백 명의 사람들이 살인자를 뒤쫓았지만 누구도 감히 전위에게 접근하지 못했다. 네다섯 리를 걸어간 전위는 그의 동료들을 만났고, 그들은 추격자들과 짧은 싸움을 벌인 후 탈출했다. 전위는 이 사건 이후 영웅으로 인정받았다.[4] 이 일과 함께 '악래(惡來; 중국 고대 은나라 [殷]의 장사)'라는 별명으로 유명해졌다.

전위는 뛰어난 체격과 괴력, 굳은 절개와 의협심을 지녔다.[26]

2. 2. 조조 휘하에서의 활약

192년, 하후돈의 추천으로 조조를 섬기게 된 전위는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특히 1994년 연주 전투에서 여포군에 맞서 뛰어난 용맹을 보여 조조의 신임을 얻었다.[6][7][8]

복양현 서쪽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전위는 수십 명의 병사를 이끌고 갑옷을 두 겹으로 입고 방패 없이 창과 만으로 무장한 채 적의 화살 세례를 뚫고 돌격했다.[9] 그는 "적이 열 걸음 앞으로 오면 알려주게."라고 말하고, 다시 "적이 다섯 걸음 앞으로 오면 알려주게."라고 말하며 침착하게 적을 기다렸다. 병사들이 "적이 닥쳐왔다!"라고 외치자, 전위는 열 자루의 극을 던져 적병들을 쓰러뜨리는 놀라운 무예를 선보였다.[10]

이 전투에서의 공으로 전위는 도위(都尉)로 승진하고 조조의 개인 호위병 수백 명을 지휘하며 막사 주변을 순찰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11] 이후 교위(校尉)로 다시 승진하였다.[12]

전위는 충성스럽고 신중하며 책임감 있는 인물로, 아침부터 해 질 녘까지 조조의 막사 밖에서 경비를 섰고, 밤에도 조조의 막사 옆에서 잠을 잘 정도로 헌신적이었다.[13] 또한 엄청난 식욕을 자랑하여 여러 명이 시중을 들어야 할 정도였는데, 조조는 이러한 전위의 모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13]

전위는 쌍으로 된 이나 긴 검을 즐겨 사용했으며, 조조 군대에서는 "우리 진영에는 총 80근의 무게가 나가는 쌍극을 휘두르는 용사 전위가 있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의 무예는 널리 알려져 있었다.[14]

197년, 완성에서 장수가 항복한 후, 경계를 늦춘 조조군의 틈을 타 장수가후가 모략을 꾸몄다. 조조는 경기병을 이끌고 도망쳤고, 전위는 수하들을 이끌고 적의 접근을 막았다.[33] 병사들의 창검을 빼앗아 적을 베었으나 무기가 부러지자 맨몸으로 달려들어 적을 때려죽였다. 장수가 활을 쏴 전위를 사살했지만, 전위는 눈을 부릅뜨고 선 채 죽어 적들이 감히 접근하지 못했다.[33]

조조는 전위의 죽음에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고, 그의 아들 전만을 낭중(郎中)으로 삼았다.[34]

2. 3. 완(宛)성 전투와 죽음

197년, 조조형주 북부 완성(宛城; 현재의 난양시)을 공격했을 때, 장수는 즉시 항복했다. 조조는 기뻐하며 장수와 그의 부하들을 위해 연회를 열었다.[15] 연회 중, 전위는 조조 뒤에서 큰 전투 도끼를 들고 경계를 섰고, 장수와 그의 부하들은 감히 고개를 들지 못했다.[16]

그러나 조조가 방심한 틈을 타 장수가 갑자기 반란을 일으켰다.[17] 전위는 진영 입구에서 적을 막았으나, 수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 용감하게 싸웠다.[18] 그는 긴 을 휘두르며 많은 적을 쓰러뜨렸고, 짧은 무기로 근접전을 벌이며 분투했다.[19]

결국 전위는 온몸에 상처를 입고 쓰러졌지만, 죽는 순간까지 적을 노려보며 욕설을 퍼부었다. 적들은 전위가 죽은 것을 확인한 후에야 그의 목을 베었다.[20] 조조는 전위의 죽음에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고, 직접 장례를 치렀으며, 전위를 상읍현에 묻었다.[21]

3. 평가

전위는 젊은 시절, 상읍의 유씨를 위해 그의 원수였던 이영을 토벌하기로 결심했다. 이영은 이전에 부춘 현장을 지냈기 때문에 엄중한 경비를 갖추고 있었다. 전위는 품속에 비수를 숨기고 겉으로는 평범한 손님인 척했지만, 문을 열게 하자마자 즉시 이영을 찔러 죽이고, 이어서 그의 아내까지 죽였다. 근처에 시장이 있었기 때문에 큰 소동이 벌어졌지만, 잠시 동안 아무도 전위에게 다가오지 못하고, 멀리서 지켜보기만 했다. 이윽고 전위는 적의 무리와 마주쳤지만, 여기저기서 싸우며 탈출에 성공했다. 이 일로 호걸로 알려지게 되었다.[27]

초평 연간에 장막이 거병하자, 그 사마인 조총의 병사로 섬겼다. 아무도 들 수 없었던 아문의 깃발을 한 손으로 들어 올렸기 때문에, 조총에게 눈도장을 받았다. 후에 조조군의 하후돈의 휘하가 되어 여러 번 전공을 세워 사마가 되었다.[28]

복양에서 여포와 조조가 싸웠을 때, 전위는 수십 명의 돌격대를 이끌고, 단극을 손에 들고 빗발치는 화살 속에서 분전하여 여포군을 막아냈다. 도위가 되어, 조조의 친위대였던 정예 수백 명을 이끌고, 전투 때마다 선봉으로 적진을 함락시켰다. 이러한 공적에 의해 무맹교위가 되었다.[29]

충성심이 강하고 신중한 성격이었다. 낮에는 계속 조조 곁에서 시립하고, 밤에는 장막의 좌우에서 숙위했기 때문에,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 자는 일은 거의 없었다. 먹고 마시는 양이 다른 사람의 두 배였고, 어전에서 식사를 받을 때에는 좌우에서 술을 따르게 하고, 시중드는 사람을 수 명으로 늘려 겨우 감당할 정도였다. 큰 쌍극(쌍철극)과 장도 등을 애용하여 "장하의 장사 중에 전군이 있네. 한 쌍의 극 80근[30]을 든다"라고 칭찬받았다.[31]

건안 2년(197년) 봄 정월, 조조가 형주장수를 정벌하여 항복시켰을 때도, 전위는 종군했다("무제기"). 술자리에서 한 자 정도의 큰 도끼를 들고 장수들을 노려보았기 때문에, 아무도 감히 얼굴을 들지 못했다고 한다.[32]

이후, 장수가 모반을 일으키자, 조조를 도주시키기 위해 부하들과 함께 싸웠다. 전위가 지키고 있던 진문에는 적이 침입할 수 없었지만, 적은 다른 문으로 진에 침입했다. 전위와 십수 명의 부하들은 다수의 적에게 포위되었지만, 모두 혼자서 열 명을 상대했다. 전위가 철극을 휘두르자, 적의 창이 십여 개 부서졌다. 결국 부하들이 모두 죽고, 자신도 수십 개의 상처를 입었지만, 전위는 적 두 명을 양 옆에 끼고 쳐 죽였다. 이것을 본 적은 가까이 다가오지 못했다. 전위는 마지막 순간, 돌진하여 수 명을 죽인 후, 눈을 부릅뜨고 입을 벌려, 큰 소리로 욕하며 죽었다. 적은 두려워하며 다가가 전위의 머리를 베어, 모두 그의 시체를 구경했다고 한다.[33]

조조는 무음에서 전위의 죽음을 듣고 눈물을 흘렸으며, 아들인 조앙의 죽음 이상으로 슬퍼하며, 시신을 되찾기 위해 지원자를 모집했다. 조조는 고별식에서 울었고, 관을 진류군 상읍으로 보내도록 했다. 그 후, 조조는 전사한 곳을 지날 때마다 전위를 조문하고, 그의 아들인 전만을 낭중으로 삼았고, 후에 사마로 채용하여 곁에 두었다.[34]

정시 4년(243년) 가을 7월, 조방(제왕)은 조칙을 내려, 조조의 묘정에 공신 20명을 제사했다. 전위는 교위라는 높지 않은 지위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안에 포함되었다("제왕기").[35]

진수는, 허저와 전위가 조조의 좌우를 경호한 것은, 한의 번쾌에 비유할 수 있다고 평했다.[36]

4. 친족 관계

전위의 아들 典滿|전만중국어은 낭중(郎中)으로 임명되었다. 조조는 후에 전위를 그리워하여 전만을 사마(司馬)로 승진시키고 곁에 두었다. 조조220년 3월에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조비는 전만을 도위(都尉)로 임명하고 관내후(關內侯)의 작위를 수여했다.[22]

5. 대중문화 속 전위

삼국지연의에서 전위는 193년경 하후돈에 의해 조조에게 처음 소개되었다. 하후돈은 전위가 원래 장막을 섬겼으나 부하들과 잘 지내지 못해 수십 명을 죽이고 산으로 도망쳤다고 설명했다. 조조는 전위의 능력을 보고 "이 사람은 고대 시대의 악래와 같구나!"라고 감탄하며 그를 교위로 임명했다.[23]

완성 전투에서 전위의 죽음은 역사적 전기보다 더 과장되어 묘사되었다. 전위는 적의 시체를 발로 들어 올리고 휘둘러 공격하는 능력을 보이다가 결국 쏟아지는 화살과 창에 맞아 죽었다. 조조는 전위의 죽음에 "나는 오직 전위만을 애도할 뿐이다!"라며 슬퍼했다.[24]

전위는 코에이의 게임 시리즈인 ''진 삼국무쌍'', ''무쌍 오로치'' 및 ''삼국지''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또한 천무의 만화 ''화봉요원''에도 등장한다.

애니메이션 및 드라마 《진격! 중화거리》에서 전위는 허저와 함께 장군 조염병의 수호령으로 등장한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전위가 장막의 부하였지만 다른 사람과 충돌하여 살인을 저지르고 산속으로 도망쳤다가 하후돈에게 발탁되어 조조에게 추천되었다고 묘사한다.[37] 또한, 황건적 잔당 하의를 잡으려 할 때 허저와 신병을 다투기도 했다.[38] 조조는 그의 괴력을 보고 "옛날의 악래와 같다"고 말했다. 장수의 반란 때에는 호거아에게 술에 취해 무기를 빼앗겼으나, 적의 무기를 빼앗아 싸우다 적의 궁병에게 일제 사격을 받고 직립부동 자세로 숨을 거두었다.[39]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Sanguozhi
[3] 서적 Sanguozhi
[4] 서적 Sanguozhi
[5] 서적 Sanguozhi
[6] 서적 Sanguozhi
[7] 서적 Sanguozhi
[8] 서적 Sanguozhi
[9] 서적 Sanguozhi
[10] 서적 Sanguozhi
[11] 서적 Sanguozhi
[12] 서적 Sanguozhi
[13] 서적 Sanguozhi
[14] 서적 Sanguozhi
[15] 서적 Sanguozhi
[16] 서적 Sanguozhi
[17] 서적 Sanguozhi
[18] 서적 Sanguozhi
[19] 서적 Sanguozhi
[20] 서적 Sanguozhi
[21] 서적 Sanguozhi
[22] 서적 Sanguozhi
[23] 서적 Sanguo Yanyi
[24] 서적 Sanguo Yanyi
[25]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26] Wikisource 三國志/卷18#典韋
[27] Wikisource 三國志/卷18#典韋
[28] Wikisource 三國志/卷18#典韋
[29] Wikisource 三國志/卷18#典韋
[30] 웹사이트 双戟 https://baike.baidu.[...]
[31] Wikisource 三國志/卷18#典韋
[32] Wikisource 三國志/卷18#典韋
[33] Wikisource 三國志/卷18#典韋
[34] Wikisource 三國志/卷18#典韋
[35] Wikisource 三國志/卷04#齊王
[36] wikisource 三國志/卷18#【評】
[37] wikisource 三國演義/第010回
[38] wikisource 三國演義/第012回
[39] wikisource 三國演義/第016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